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편] 첫 사회 진입을 준비하는 청년이 꼭 알아야 할 청년지원 정책

by 윤태브리핑 2025. 4. 8.
반응형
SMALL

 

[2025년 청년정책 시리즈 1편]

처음 사회에 나서는 청년을 위한 정책 가이드 

일자리도, 창업도 처음이라면? 2025년 청년정책으로 시작을 준비해보세요.


 

왜 ‘첫 사회 진입’ 청년을 위한 정책이 중요한가?

청년 실업률은 여전히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15~29세 청년 실업률은 7.6%에 달하며, 많은 청년들이 "경력 없음"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사회 첫 진입’ 청년을 위한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인천광역시 중구의 청년정책 시행계획에서는 ‘일터’ 분야에 총 860백만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6개 주요 사업을 전개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중 청년의 진입기와 밀접한 사업들을 정리해 소개합니다.

 

청년 일자리를 위한 핵심 정책

1. 청년도전지원 사업

구직을 단념한 청년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입니다. 직무 교육, 면접 컨설팅, 자존감 회복 코칭까지 통합 지원하며, 2024년 기준 75명 참여, 64명 이수, 9명 취업이라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025년에는 예산이 대폭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일자리센터 운영

중구청의 청년전담 일자리센터에서는 구인·구직 매칭, 채용 박람회, 이력서 첨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구직자가 구직등록만 해도 다양한 실시간 채용 정보를 받을 수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3. 청년 항공경비요원 양성 사업 (신규)

항공 보안검색, 경비 인력 양성으로 인천국제공항과의 연계를 통해 청년 취업을 유도합니다. 신도시 청년 인구가 높은 중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 사업입니다.

 

 

창업을 꿈꾸는 청년을 위한 정책

1. 청년오피스 공유공간 운영

청년 창업자에게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청년오피스’는 회의실, 데스크, 창업 컨설팅을 포함해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특히 기술 창업이나 콘텐츠 기반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적합하며, 2024년 기준 3개 예비 창업팀이 입주해 활동 중입니다.

2. 청년 농업·어촌 정착 지원

도시를 떠나 농어촌에서의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청년을 위한 제도입니다. 초기 정착금, 기술교육, 지역 정착 컨설팅이 제공되며, 어업 또는 농업 창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이 됩니다.

 

 

결: 청년 진입기, 정책부터 알아보자

막연히 힘들다는 말보다는, 나에게 맞는 정책을 찾는 것이 시작입니다.

본격적인 사회 진입을 앞둔 청년이라면 위 정책들을 꼼꼼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청년도전지원사업과 일자리센터는 지금 바로 신청 가능한 프로그램이므로, 거주하시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정보 확인을 추천합니다.

 

 

📚 연재 시리즈 모아보기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