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 2025년 부산, 울산, 대구 청년 월세 지원 정책 안내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부산, 울산, 대구 지역의 청년 월세 지원 정책을 안내합니다.
각 지역별 지원 대상, 주택 요건, 소득 기준, 지원 내용, 신청 방법, 신청 기간, 문의처를 확인하시고, 해당되는 청년들은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부산광역시
- 지원 대상: 만 19세~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으로, 부모와 별도 거주하며 청약통장에 가입한 자.
- 주택 요건: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자.
- 소득 기준: 청년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지원 내용: 월 최대 20만 원씩 최대 24개월 지원.
- 신청 방법: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문의처: 부산광역시 청년정책과 ☎ 051-120
- 참고 링크: 부산청년플랫폼 청년 월세 지원 안내
📍 울산광역시
- 지원 대상: 만 19세~39세 이하의 무주택 미혼 청년 1인 가구 세대주.
- 주택 요건: 임차보증금 1억 원 이하, 월세 5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자.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 내용: 월 임차료 10만 원 및 임차보증금 이자 5만 원 등 월 최대 15만 원을 최장 4년간 지원.
- 신청 방법: 울산 주거지원사업 홈페이지(www.ulsan.go.kr/s/house)를 통한 온라인 신청.
- 문의처: 울산광역시 주택과 ☎ 052-120
- 참고 링크: 울산주거지원사업 청년가구 주거비지원 안내
📍 대구광역시
- 지원 대상: 만 19세~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으로,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자.
- 주택 요건: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자.
- 소득 기준: 청년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지원 내용: 월 최대 20만 원씩 최대 24개월 지원.
- 신청 방법: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문의처: 대구광역시 청년정책과 ☎ 053-120
- 참고 링크: 대구광역시 청년정책 주거 지원 안내
주의사항
- 신청 전 확인: 각 지자체의 지원 요건 및 신청 기간이 상이하므로, 신청 전에 해당 지자체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제출 서류: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사본, 소득 증빙서류 등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신청 시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서류 목록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 각 지자체의 청년정책 담당 부서 또는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여 상세한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청년 여러분의 주거 안정을 위한 지원을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본 정보는 2025년 4월 기준이며, 각 지자체 공고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신청 전 반드시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반응형
LIST